------------------------------------------------------------------------------------------------------------------------------------------------------
------------------------------------------------------------------------------------------------------------------------------------------------------
728x90
728x170

작품 소개 : 정선 고을의 가난한 양반이 부자에게 양반 신분을 팔기로 했으나, 양반의 횡포와 쓸데없는 허레허식에 질린 부자가 양반을 '도둑놈'이라 표현하며 머리를 흔들고 가버린 이야기.

<작가>

박지원 1737 ~ 1805
영,정조 때의 문신, 학자. 본관은 반남, 자는 중미, 호는 연암. 이용후생학을 추구한 실학자. 사회적 약자에 대한 따뜻한 관심 및 언행일치를 이룬 참된 양반.
작품: <열하일기>, <연암집>

<줄거리>

양반이란 사족(士族)들을 높여서 부르는 말이다. 정선군에 한 양반이 살고 있었다. 이 양반은 평소 성품이 어질어서 새로운 군수가 부임하면 몸소 그를 찾아 인사를 하는 관례가 있었다. 양반은 집이 가난하여 해마다 고을의 환자(쌀)를 타다 먹었다. 그것이 모여 빚이 천 석이 넘었다.

관찰사가 이 사실을 알고는 양반에게 당장 천 석을 갚으라고 했다. 그러나 무능한 양반은 빚을 갚지 못하고 밤낮으로 울기만 했다. 참다못한 그의 아내는 양반이 한 푼어치도 못 된다며 비난한다. 그 마을에 한 부자가 살고 있었다. 평소 부자는, 양반은 가난해도 늘 존귀하게 대접받지만, 자신은 돈이 많아도 비천하게 대접받는다고 생각했다. 마침 양반의 소식을 들은 부자는 돈을 주고 양반 신분을 사기로 한다.

한편, 군수는 고을의 백성들을 불러서 증인을 세우고 신분 매매에 대한 증서를 만들었다. 그 증서에는 양반이 지켜야 할 도리가 쓰여 있었다. '양반은 돈을 만지지 말고, 더워도 버선을 벗지 말고, 추워도 곁불을 쪼이지 않는다. 또한 밥을 먹을 때는 맨상투로 밥상에 앉지 말고, 아파도 무당을 부르지 않는다.'라는 양반의 허세에 대한 내용이었다. 부자가 불만을 표시하자 군수는 문서를 다시 작성했다.

사민(四民) 가운데 가장 높은 것이 양반이다. 양반은 농사도 안 짓고, 장사도 안 한다. 궁한 양반이 시골에 있어도 남의 소를 끌어다 자기 땅을 먼저 간다. 마을의 일꾼을 잡아다가 자기 논을 먼저 맨들 누가 감히 양반을 괄시하랴. 양민들의 코에 잿물을 들이붓고 머리끄덩이와 수염을 낚아채도 양반을 원망하지 못할 것이다.

양반의 위선적인 내용에 부자는 증서를 중지시킨다. 그리고선 자신을 도둑놈으로 만들 작정이냐며 머리를 흔들고 가버렸다. 부자는 평생 다시 '양반'이라는 말을 입에 올리지 않았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Posted by 클루미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