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뜻
장님 여럿이 코끼리를 만진다는 뜻. 모든 사물을 자기의 좁은 생각으로 잘못 판단하는 것을 이르는 말.
▣ 유의어
구반문촉(毆槃文燭) : 쟁반을 두드리고 초를 어루만져 보다. 정확하게 알지 못하면서 전체를 아는 것처럼 말하면 안 된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
군맹모상(群盲摸象) : 어리석은 중생들이 사물을 자기 주관대로 판단하거나 그 일부밖에 파악하지 못함을 비유하는 말.
군맹무상(群盲撫象) : 장님 여럿이 코끼리를 만진다는 뜻으로, 모든 사물을 자기의 좁은 소견으로 그릇되게 판단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맹인모상(盲人摸象) : 일부분만 알면서 전체를 아는 것처럼 여기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 유래
북송열반경(北宋涅般經)의 사자후보살품(獅子吼菩薩品) 편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인도의 어느 왕이 대신에게 코끼리 한 마리를 끌고 와서 맹인들에게 보이라고 했다.
그러자 맹인들이 제각기 손으로 코끼리를 만졌다.
상아를 만져본 맹인은 무와 비슷하다 하고, 귀를 만져 본 사람은 키와 같다고 했다.
다리를 만져본 사람은 절구 같다, 등을 만져본 사람은 침상과 같다, 배를 만져본 사람은 독과 같다, 꼬리를 만져 본 사람은 새끼줄과 같다고 하였다.
맹인들 각자가 말하고 있는 것을 종합하면 코끼리를 말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코끼리는 부처님이고, 맹인들은 어리석은 중생(衆生)을 비유한 것이다.
중생들은 자신들이 만져 본 부위가 코끼리의 전체 모습을 다 본 것처럼 말하고 있다.
'군맹평상'이란 장님 코끼리 만지기란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 자기 주관에만 치우쳐 일을 그릇되게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권선징악(勸善懲惡)뜻과 유래 (0) | 2021.01.25 |
---|---|
[고사성어] 군자원포주(君子遠庖廚) 뜻과 유래 (0) | 2021.01.22 |
[고사성어] 국파산하재(國破山河在) 뜻과 유래 (0) | 2021.01.20 |
[고사성어] 국사무쌍(國士無雙) 뜻과 유래 (0) | 2021.01.19 |
[고사성어] 구화지문(口禍之門) 뜻과 유래 (0) | 2021.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