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뜻
쇠같이 단단하고 난초처럼 향기로운 사귐. 아주 친한 친구 사이.
▣ 유의어
고산유수(高山流水) : 높은 산과 흐르는 물. 자기의 마음을 잘 이해하고 자기의 가치를 알아주는 참다운 친구.
교칠지심(膠漆之心) : 아교와 옻칠과 같은 마음. 친구 사이의 두터운 우정을 비유한 말.
금란지의(金蘭之誼) : 친구 사이의 매우 두터운 정
금석지계(金石之交) : 쇠붙이와 돌처럼 굳고 변함없는 우정.
단금지교(斷金之交) : 쇠붙이를 끊을 수 있을 만큼 단단한 교분. 친구 사이의 두터운 우정.
담수지교(淡水之交) : 물과 같이 담박한 교제. 곧 군자(君子)의 교제.
막역지우(莫逆之友) : 거스름이 없는 벗. 허물이 없이 매우 가까운 친구.
문경지교(刎頸之交) : 서로 죽음을 대신할 수 있을 만큼 막역한 사이
문경지우(刎頸之友) : 죽음을 대신할 수 있을 만큼 아주 친밀한 사이.
백아절현(伯牙絶絃) : 참다운 벗의 죽음을 슬퍼함.
수어지교(水魚之交) : 물과 물고기의 관계.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매우 친밀한 사이.
수어지친(水魚之親) : 물과 물고기의 관계.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매우 친밀한 사이.
어수지교(魚水之交) : 물과 물고기의 관계라는 뜻.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매우 친밀한 사이.
어수친(魚水親) : 물고기와 물의 사이처럼, 서로 떨어질 수 없는 매우 친한 사이.
지기지우(知己之友) : 자기의 가치나 속마음을 잘 알아주는 참다운 벗.
지란지교(芝蘭之交) : 지초(芝草)와 난초(蘭草)의 사귐, 벗 사이의 높고 맑은 사귐.
심우(心友) : 마음이 서로 잘 통하는 친한 벗.
지기(知己) : 자기의 가치나 속마음을 잘 알아주는 참다운 벗.
지음(知音) : 마음이 서로 통하는 친한 벗.
지음인(知音人) : 마음이 서로 통하는 친한 벗.
▣ 유래
이 말은 친구 사이가 너무 친밀하여 그 사귐이 쇠보다 굳고, 그 향기가 난초와 같다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사람들과 한 가지로 하여, 먼저는 울부짖고 뒤에는 웃는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의 도는 혹은 나가 벼슬하고 혹은 물러나 집에 있으며, 혹은 침묵을 지키지만 혹은 크게 말한다.
두 사람이 마음을 하나로 하면 그 날카로움이 쇠를 끊고, 마음을 하나로 하여 말하면 그 향기가 난초와 같다.
同人, 先號咷而後笑 子曰, 君子之道, 或出或處, 或黙或語. 二人同心, 其利斷金, 同心之言, 其臭如蘭.
몹시 친밀한 사이를 금란지교(金蘭之交)라고 하는 것은 여기에서 나온 것이다.
친구 사이의 사귐이 굳은 것을 금란지계(金蘭之契)라고 하는데, 이 말은 백낙천의 시구에 나온다.
대홍정이라는 사람이 친구를 얻을 때 마다, 장부에 기록하고, 향을 피우고 조상에게 고하여, 금란부(金蘭簿)라고 이름을 붙였다.
여기에서 유래하여, 친구의 주소와 이름을 기록한 장부를 금란부라고 부르게 되었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금성탕지(金城湯池) 뜻과 유래 (0) | 2021.05.12 |
---|---|
[고사성어] 금상첨화(錦上添花) 뜻과 유래 (0) | 2021.05.10 |
[고사성어] 근화일일자위영(槿花一日自爲榮) 뜻과 유래 (0) | 2021.05.08 |
[고사성어] 군자화이부동(君子和而不同) 뜻과 유래 (0) | 2021.05.05 |
[고사성어] 군자표변(君子豹變) 뜻과 유래 (0) | 2021.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