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뜻
큰 그릇을 만드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뜻으로,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짐을 말함.
▣ 유의어
대기난성(大器難成) : 큰 그릇은 늦게 만들어진다.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짐을 비유함.
대재만성(大才晩成) : 큰 재능을 가진 사람은 늦게 이루어진다.
▣ 유래
노자(老子) 제 41장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상등의 선비는 도(道)를 들으면 힘써 행한다.
중등의 선비는 도(道)를 들으면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것 같기도 하며 망설인다.
하등의 선비는 도(道)를 들으면 크게 웃는다. 웃지 않으면 도(道)라고 하기에 부족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은 말이 있어 왔다.
밝은 도는 어두운 것 같고, 나아가는 도는 물러서는 것 같고, 평탄한 도는 험한 것 같다.
최상의 덕은 골짜기 같고, 너무 흰 것은 더러운 것 같고, 넓은 덕은 부족한 것 같다.
세운 덕은 변하는 것 같고, 변함없는 덕은 변하는 것 같고, 큰 네모에는 모서리가 없다.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지고, 큰 소리는 소리가 없고, 큰 형상은 형상이 없다.
도(道)는 숨겨져서 이름이 없다. 대저 오직 道는 잘 빌려주어 또 이루게 한다.
上士聞道, 勤而行之. 中士聞道, 若存若亡. 下士聞道, 大笑之. 不笑不足以爲道. 故建言有之. 明道若昧, 進道若退. 夷道若纇, 上德若谷. 廣德若不足, 建德若偸. 質眞若渝. 大白若辱, 大方武無隅, 大器晩成. 大音希聲, 大象無形. 道隱無名. 夫唯道, 善貸且成.
'대기만성'이란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뜻으로 큰 인물은 늦게 이루어진다는 뜻이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대동소이(大同小異) 뜻과 유래 (0) | 2021.07.12 |
---|---|
[고사성어] 대도폐유인의(大道廢有仁義) 뜻과 유래 (0) | 2021.07.10 |
[고사성어] 당랑거철(螳螂拒轍) 뜻과 유래 (0) | 2021.07.09 |
[고사성어] 단장(斷腸) 뜻과 유래 (0) | 2021.07.09 |
[고사성어] 단기지교(斷機之敎) 뜻과 유래 (0) | 2021.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