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뜻
잘못하고서 고치지 않는 것으로, 이것을 잘못이라고 한다.
▣ 유의어
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 : 허물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
▣ 유래
論語(논어) 위령공편(衛靈公篇)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잘못하고서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을 잘못이라고 말한다."
子曰 過而不改 是謂過矣(자왈 과이불개 시위과의)
인간이 잘못을 저지르는 일은 피할 수 없다. 문제는 그것이 잘못인 줄 알았으면 선뜻 잘못을 고쳐야 하며 같은 잘못을 두 번 다시 저지르지 말아야 한다.
논어 (위령공편(衛靈公篇))에서 공자가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 이것을 잘못이라 한다(過而不改 是謂過矣)"고 말한 데서 연유한다.
728x90
반응형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과즉불탄개(過則勿憚改) 뜻과 유래 (0) | 2021.01.07 |
---|---|
[고사성어] 과전불납리 이하부정관(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 뜻과 유래 (0) | 2021.01.06 |
[고사성어] 공중누각(空中樓閣) 뜻과 유래 (0) | 2021.01.03 |
[고사성어] 공곡공음(空谷跫音) 뜻과 유래 (0) | 2021.01.02 |
[고사성어] 곡학아세(曲學阿世) 뜻과 유래 (0) | 2020.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