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728x90
728x170

 

▣ 뜻

 

따뜻하게 입고 배불리 먹음. 넉넉한 생활을 비유하는 말.

 

▣ 유의어

 

금의옥식(錦衣玉食) : 비단옷과 흰쌀밥이라는 뜻. 사치스럽고 호강스러운 생활을 이르는 말.

포식난의(飽食煖衣) : 배부르게 먹고 따뜻하게 입는다는 뜻으로, 생활이 넉넉함을 이르는 말.

호의호식(好衣好食) : 좋은 옷과 좋은 음식이라는 뜻으로, 잘 입고 잘 먹음을 이르는 말.

 

▣ 유래

 

맹자의 '등문공편'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맹자(孟子)는 60세가 넘어 등문공(滕文公)에게 초대를 받아 등나라에 갔다.

맹자는 등문공에게 주(周)나라처럼 정전법을 실시하여 이상적인 사회를 실현하도록 했다.

이때 묵자(墨子)의 영향을 받은 중농주의자 허행(許行)은 등나라에 와서 문공으로부터 살 집과 전토(田土)를 받고,

직접 짠 거친 옷을 입고 직접 경작한 양식을 먹으며 자급자족 경제를 실천하고 있었다.

 

유교의 학문을 버리고 허행과 같은 생활을 시작한 진상(陳相)은 맹자에게 '등나라 임금도 백성들처럼 손수 농사지어서 먹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맹자는 '인간의 생활이란 분업을 하는 것이지 원시적 자급자족이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허행도 농기구나 그릇 등을 물물 교환하여 쓰고 있다고 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우(禹)임금은 8년 동안 아홉 개의 큰 강을 막아 다스리느라고 세 차례나 자기 집 문 앞을 지나면서도 못 들어갔다.

그리고 후직(后稷)을 시켜 백성들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치게 했다.

오곡을 심어 가꾸고, 오곡이 익자 백성들이 잘살게 되었다.

 

그러나 사람에게는 도가 있어,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입고 편안히 살지라도 가르침이 없으면 새와 집승에 가까워진다.

성인이 이것을 걱정하여 설(契)을 사도로 삼아 인륜으로써 가르치게 하니,

이것이 바로 아버지와 자식은 친함이 있고, 임금과 신하 사이에는 의가 있으며, 남편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이 있고,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가 있으며, 친구 사이에는 신의가 있어야 한다.

后稷敎民稼穡, 樹藝五穀. 五穀熟而人民育. 人之有道也, 飽食煖衣逸居而無敎, 則近於禽獸.

聖人有憂之, 使契爲司徒, 敎以人倫. 此之謂五倫. 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

 

 

'난의포식'은 따뜻한 옷을 입고 음식을 배불리 먹어 의식에 어려움이 없는 상황을 말한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Posted by 클루미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