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뜻
지나친 걱정이나 쓸데없는 걱정.
▣ 유의어
의심암귀(疑心暗鬼) : 의심하게 되면 없던 귀신도 생긴다. 즉, 의심을 하면 올바른 판단을 못하고 귀신에게 홀린 듯 잘못 판단하는 경우를 말한다.
배중사영(杯中蛇影) : 술잔에 비친 활에 그려져 있는 뱀 그림. 스스로 의심하는 마음이 생겨 아무것도 아닌 일에 의심을 품고 지나치게 근심하는 것을 말함.
배궁사영(杯弓蛇影) : 술잔에 비친 활에 그려져 있는 뱀 그림. 스스로 의심하는 마음으로 아무것도 아닌 일에 의심을 품고 지나치게 근심하는 것.
기인지우(杞人之憂) : 쓸데없는 걱정.
기국첨천(杞國瞻天) : 쓸데없는 걱정.
기국우천(杞國憂天) : 쓸데없는 걱정, 곧 기우(杞憂)를 가리킨다.
기국우천경(杞國憂天傾) : 근거 없거나 불필요한 걱정을 함.
기국천붕(杞國天崩) : 기(杞)나라 사람이 항상 하늘이 무너질까 걱정했다는 뜻. 쓸데없는 걱정.
▣ 유래
열자(列子) <천서편(天瑞篇)>에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있다.
고대 중국 기(杞)나라에 하늘과 땅이 무너져 내려앉으면 몸 붙일 곳이 없을 것을 근심하여 식음을 전폐한 사람이 있었다.
그러자 그를 걱정하던 사람이
"하늘은 기운으로 가득 차 있어 해와 달, 별이 떨어지지 않고 땅 역시 기운이 뭉쳐져 있어 꺼지지 않는다."
라고 설명하자 비로소 마음 놓고 크게 기뻐했다.
이 이야기처럼 '기우'란, 쓸데없는 근심을 하는 것을 말한다.
728x90
반응형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기화가거(奇貨可居) 뜻과 유래 (0) | 2021.05.14 |
---|---|
[고사성어] 기호지세(騎虎之勢) 뜻과 유래 (0) | 2021.05.14 |
[고사성어] 금성탕지(金城湯池) 뜻과 유래 (0) | 2021.05.12 |
[고사성어] 금상첨화(錦上添花) 뜻과 유래 (0) | 2021.05.10 |
[고사성어] 금란지교(金蘭之交) 뜻과 유래 (0) | 2021.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