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뜻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함.
▣ 유의어
남우충수(濫竽充數) : 능력이 없는 자가 능력이 있는 것처럼 가장함.
남곽남취(南郭濫吹) : 소리 나지 않는 피리로 숫자를 채운다는 뜻으로, 무능한 자가 높은 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
남우(濫竿) : 무능한 사람이 유능한 체함.
▣ 유래
이 이야기는 한비자(韓非子) 내저설상칠술편(內儲說上 七術篇)에 있는 글로, 임금이 신하를 다스리는 일곱 가지 방법을 설명했다.
일곱 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 가지 일의 발단을 참고하여 볼 것.
둘째, 잘못된 일은 반드시 처벌하여 위엄을 밝힐 것.
셋째, 잘한 일은 상을 주어 능력을 다하게 할 것.
넷째, 매일 신하들의 의견을 들을 것.
다섯째, 의심나는 명령을 내려 보고 일부러 잘못된 일을 시켜 볼 것.
여섯째, 아는 것을 감추고 물어볼 것,
일곱째, 말을 거꾸로 하여 반대되는 일을 시켜 볼 것.
이 일곱 가지는 임금이 사용해야 할 것들이다. 그 예로 다음 이야기를 들었다.
제(齊)나라 선왕(宣王)은 우(竿, 생황) 연주를 좋아했다.
그런데 우를 불 때는 반드시 3백 명이 함께 불도록 했다.
남곽처사(南郭處士)가 왕을 위하여 우를 불겠다고 청원하였다.
선왕이 이것을 기뻐하여 수백 명 분의 곡식을 주었다.
선왕이 죽고 민왕이 즉위했다. 민왕은 한 사람씩 부는 것을 좋아했다.
그러자 연주 실력이 없던 처사는 도망쳤다.
'남취(濫吹)'란 무능한 사람이 유능한 체 한다는 뜻이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사성어] 낭중지추(囊中之錐) 뜻과 유래 (0) | 2021.05.30 |
---|---|
[고사성어] 남풍불경(南風不競) 뜻과 유래 (0) | 2021.05.29 |
[고사성어] 남상(濫觴) 뜻과 유래 (0) | 2021.05.28 |
[고사성아] 남가일몽(南柯一夢) 뜻과 유래 (0) | 2021.05.26 |
[고사성어] 난형난제(難兄難弟) 뜻과 유래 (0) | 2021.05.25 |